홍도 (통영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도(統營市)는 경상남도 통영시에 위치한 섬으로, 1906년 등대가 설치되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근대 등대가 있는 곳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해군이 주둔하며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고, 연합군의 폭격으로 등대가 파괴되기도 했다. 1954년 등대가 복구되었고, 1996년 무인화되었다. 홍도는 괭이갈매기 번식지로, 천연기념물 제35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식물과 희귀 동물이 서식한다. 또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영시의 지리 - 한산도
한산도는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시 사이의 섬으로,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여 조선 수군의 중심지였으며, 관련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진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관광지이다. - 통영시의 지리 - 매물도
경상남도 통영시에 위치한 매물도는 온난한 아열대성 기후와 다양한 아열대 식물이 자생하는 섬으로, 조선 초기에는 매매도로 불렸으며 1869년부터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 남해의 섬 - 한산도
한산도는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시 사이의 섬으로,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여 조선 수군의 중심지였으며, 관련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진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관광지이다. - 남해의 섬 - 거금도
거금도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속하며 과거 절이도로 불렸고, 이순신이 절이도 해전에서 승리한 곳이며, 현재는 금장교회, 거금대교 전망대, 김일 기념관 등의 관광 시설이 있는 섬이다.
홍도 (통영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섬 이름 | 홍도 |
한자 표기 | 鴻島 |
로마자 표기 | Hong-do |
![]() | |
해역 | 일본해(조선해협) |
국가 |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
면적 | 0.09838 |
최고점 높이 | 115 |
둘레 | 0.6 |
2. 역사
대한제국 말기인 1906년 3월에 등대가 설치되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근대 등대가 되었다.[5]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이 구상한 한일 해저 터널 (대동아 종관 철도) 계획의 일부로, 홍도에 작업 갱을 설치하여 대마도와 마산을 연결하는 구상이 있었다.[7] 일본 제국 해군은 1개 중대 병력을 이 섬에 주둔시켜 포진지를 구축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 표적이 되어 연합국의 폭격으로 등대가 파괴되었다. 오늘날에도 섬 곳곳에서 포진지 구축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5] 1954년 11월에 파괴되었던 등대가 복구되었고, 1996년 10월에 무인화되었다.[7]
2. 1.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대한제국 말기인 1906년 3월에 등대가 설치되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근대 등대가 되었다.[5]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이 구상한 한일 해저 터널 (대동아 종관 철도) 계획의 일부로, 홍도에 작업 갱을 설치하여 대마도와 마산을 연결하는 구상이 있었다.[7]
일본 제국 해군은 1개 중대 병력을 이 섬에 주둔시켜 포진지를 구축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 표적이 되어 연합국의 폭격으로 등대가 파괴되었다. 오늘날에도 섬 곳곳에서 포진지 구축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5]
2. 2. 광복 이후
1954년 11월에 파괴되었던 등대가 복구되었고, 1996년 10월에 무인화되었다.[7]3. 생태
홍도는 괭이갈매기 번식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섬 전체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섬에는 동백나무, 손바닥선인장, 앉은부채, 민들레 등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닭의장풀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3. 1. 괭이갈매기 번식지
홍도는 괭이갈매기 번식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매년 4월이 되면 수만 마리의 괭이갈매기가 산란을 위해 날아온다. 섬 전체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55호로 지정되어 있다.3. 2. 식물상
섬에 분포하는 실고사리는 새의 둥지 재료로 사용된다. 동백나무,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앉은부채, 민들레가 자생하고 있다.또한,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보이는 닭의장풀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4. 특정도서
홍도는 경관이 수려하고, 초본식생이 우수하며, 야고, 미륵냉이 등 희귀식물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멸종위기동물인 매가 서식하고, 괭이갈매기가 집단 번식하고 있으며,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특정도서로 지정·관리되고 있다.[1] 홍도 일원은 천연기념물 제335호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 지정번호: 제27호
- 면적: 98380m2
- 지번: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54
5. 같이 보기
-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참조
[1]
서적
外國地名譯名(第四版)
國家教育研究院
[2]
웹사이트
地球温暖化で鴻島のカモメの繁殖期が早まった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9-05-07
[3]
웹사이트
4월 무인도서 '홍도' 선정…국내 최대 갈매기 번식지
https://www.msn.com/[...]
2018-04-02
[4]
간행물
[5]
웹사이트
남해안 비경 환상의 섬 (22) 통영 홍도
http://www.knnews.co[...]
2010-06-10
[6]
간행물
[7]
논문
朝鮮海峡トンネル計画とその経緯
http://library.jsce.[...]
[8]
간행물
[9]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